論語(八佾篇)3 3-19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임금은 예의로써 신하를 쓰고, 신하는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겨야 한다. 3-20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시경]의 관저편은 즐거우나 문란하지 않고, 애처로우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3-26 居上不寬 爲禮不敬 臨喪不哀 吾何以觀之哉 위에 있으면서 관대하지 못하고, 예를 .. 논어정리(論語整理) 2007.03.20
論語(爲政篇)2 2-1 爲政以德 다스림을 덕으로써 한다. 2-2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 시경에 있는 3백 편의 시는 한마디로 말하면, 상념에 사악함이 없다. 2-4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독립했고, 마흔.. 논어정리(論語整理) 2007.03.19
論語(學而篇)1 1-3 巧言令色 鮮矣仁 말을 듣기 좋게 잘하고 용모를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은 참된 仁心이나 仁德이 없다. 1-4 吾日三省吾身(曾子)----- 不忠/不信/不習 나는 날마다 세 가지 일에 대하여 반성한다. 일을 도모함에 충성스럽지 않았는지?, 사귐에 있어 신의를 저버리지는 않았는지? 학문을 익히지 않는 바 .. 논어정리(論語整理) 2007.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