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마저 등돌린 자살자 유가족 고통
서울신문 | 입력 2009.10.12 02:26 |
[서울신문]지난 8월4일 A(38)씨는 충북 청주시의 한 공원묘지 앞에 자신의 승용차를 세워놓고 실내에 연탄불을 피워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차 안에는 3개월 전 우울증을 앓다 목매 자살한 아내가 그립다며 함께 따라가겠다는 유서가 있었다. A씨의 동생은 "형이 '아내가 있는 곳에서 생을 마감한다.'는 문자를 보내와 곧장 형수가 묻힌 납골당에 가 보니 이미 숨져 있었다."면서 "형은 형수가 숨진 뒤 매일 6시간 이상씩 납골당을 지키는 등 너무 괴로워했다."고 말했다.
한국자살예방협회의 장창민 과장은 11일 "죽고 싶다며 전화하는 상담자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자살로 가족을 잃은 경우가 많다."면서 "제대로 된 심리치료 없이 방치된 유족들은 감당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 괴로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자살예방종합대책'에서 자살자 유가족의 보호·관리를 위한 방안을 내놓았지만 1년이 다 돼 가는 데도 제대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당시 정부는 이들을 위해 심리치료 지원, 상담서비스 제공, 유족모임 운영 등을 제시했지만 서울·인천의 광역정신보건센터 2곳에서 유가족 자조모임을 조직한 것이 전부다. 그마저도 대상자들이 모이지 않아 개점휴업 상태라고 한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자살로 숨진 사람은 1만 2859명에 이른다. 자살자 유가족은 7만 7000여명으로 추정된다. 2000~2008년 자살 사망자가 9만 2038명인 것을 감안하면 같은 기간 발생한 유가족은 55만 2000여명에 이른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살로 1명이 사망할 경우 주변의 6명이 심리적인 충격에 빠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 과장은 "유가족들은 알코올중독자, 자살미수자 등과 함께 대표적인 자살 고위험군"이라고 말했다.
유가족 자조모임을 꾸린 인천 광역정신보건센터 관계자는 "유가족 정보가 없어 접근이 어려울뿐더러 유족들도 신분노출이 부담돼 잘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한 관계자도 "올해 자살예방 관련예산이 적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실행하지 못했다."며 안타까워했다.
전문가들은 국가 주도의 연구기관이나 전문기관 등이 관련대책을 책임있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육성필 한국 자살예방연구소 소장은 "국가주도 연구기관이나 보건복지부내 전문 주무관도 없는 현실에서 대책이 실현되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현재 자살자 유가족 관리를 담당하는 광역정신보건센터는 자살문제뿐 아니라 우울증 등 심리문제 전반을 다루기 때문에 자살자 유가족들의 문제만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유족들끼리 경험을 공유해 자연스러운 심리치료 효과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정신보건센터들이 교육 위주의 계도적 프로그램을 운영해 모이길 꺼려한다."면서 "동네에서 모여 편히 얘기하며 위안을 받는 '치료적 공통체' 형태로 운영돼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자살예방종합대책'에서 자살자 유가족의 보호·관리를 위한 방안을 내놓았지만 1년이 다 돼 가는 데도 제대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당시 정부는 이들을 위해 심리치료 지원, 상담서비스 제공, 유족모임 운영 등을 제시했지만 서울·인천의 광역정신보건센터 2곳에서 유가족 자조모임을 조직한 것이 전부다. 그마저도 대상자들이 모이지 않아 개점휴업 상태라고 한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자살로 숨진 사람은 1만 2859명에 이른다. 자살자 유가족은 7만 7000여명으로 추정된다. 2000~2008년 자살 사망자가 9만 2038명인 것을 감안하면 같은 기간 발생한 유가족은 55만 2000여명에 이른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살로 1명이 사망할 경우 주변의 6명이 심리적인 충격에 빠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 과장은 "유가족들은 알코올중독자, 자살미수자 등과 함께 대표적인 자살 고위험군"이라고 말했다.
유가족 자조모임을 꾸린 인천 광역정신보건센터 관계자는 "유가족 정보가 없어 접근이 어려울뿐더러 유족들도 신분노출이 부담돼 잘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한 관계자도 "올해 자살예방 관련예산이 적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실행하지 못했다."며 안타까워했다.
전문가들은 국가 주도의 연구기관이나 전문기관 등이 관련대책을 책임있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육성필 한국 자살예방연구소 소장은 "국가주도 연구기관이나 보건복지부내 전문 주무관도 없는 현실에서 대책이 실현되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현재 자살자 유가족 관리를 담당하는 광역정신보건센터는 자살문제뿐 아니라 우울증 등 심리문제 전반을 다루기 때문에 자살자 유가족들의 문제만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유족들끼리 경험을 공유해 자연스러운 심리치료 효과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정신보건센터들이 교육 위주의 계도적 프로그램을 운영해 모이길 꺼려한다."면서 "동네에서 모여 편히 얘기하며 위안을 받는 '치료적 공통체' 형태로 운영돼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生과 死'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회장님의 명복을 빕니다. (0) | 2009.11.06 |
---|---|
유명 여가수 천린 투신자살, 중국 경악 (0) | 2009.11.01 |
젊은 영가여 극락왕생하시라 (0) | 2009.09.28 |
'608일간의 사랑' (0) | 2009.09.18 |
‘왕따’ 여고생 자살, 막을 방법 없었나 (0) | 200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