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寺刹 巡禮(8) - 順 天 松廣寺 順 天 松廣寺 한국의三寶사찰 가운데 僧寶사찰로서 유서깊은 절이다. 통도사ㆍ해인사와 함께 우리나라 3대사찰로 꼽히는 절이다 松廣寺誌에 따르면 신라 말기에 혜린(慧璘)이 마땅한 절을 찾던 중, 이곳에 이르러 산 이름을 송광이라 하고 절 이름을 吉祥이라 하였는데, 창건된 뒤 고려 .. 불교·불경(佛敎·佛經) 2016.05.04
[스크랩] 寺刹 巡禮(5) - 慶州 佛國寺 慶州 佛國寺 세계문화유산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는 1,440년전 신라 법흥왕 22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후 신라 경덕왕 (742-764)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을 새롭게 하였다. 1920년 이전에는 일부 건물과 .. 불교·불경(佛敎·佛經) 2016.05.02
[스크랩] 寺刹 巡禮 (3)- 海東 龍宮寺 海東 龍宮寺 1376년에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대사께서 절 이름을 보문사(普門寺)라 칭하여 창건을 하고, 임진왜란의 전화로 소실되었다가 1930년대초 근3백여년만에 통도사 운강(雲崗)화상이 보문사를 중창하고, 1974년 정암(晸菴)이 부임하여 관음도량으로 복원할 것을 발원하고 백일기도.. 불교·불경(佛敎·佛經) 2016.05.02
[스크랩] 변산반도 부안 내소사 변산반도 부안 내소사 소재지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268(변산반도 국립공원) 633년(백제 무왕 34) 백제의 승려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하여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고 하였다. 1633년(조선 인조 11) 청민(淸旻)이 대웅전(보물 291)을 지었는데, 그 건축양식이 매우 정교하고 환.. 불교·불경(佛敎·佛經) 2016.02.11
[스크랩] [공주여행] 마곡사심검당 및 고방(麻谷寺尋劍堂 및 庫房), 매화당 마곡사심검당 및 고방(麻谷寺尋劍堂 및 庫房)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마곡사 현판은 정조 연간에 청백한 관리로 송하 조윤형의 글씨이다. 청빈한 그의 인품을 보여주듯 굵직하면서도 날카로운 느낌으로 "심검"이란 의미와 상통하는 글씨체이다. 마곡사 심검당 마곡사 현판은 정조 .. 불교·불경(佛敎·佛經) 2016.01.21
[스크랩] ◈ [송원 스님] 알기쉬운 선(禪) 이야기 100가지 ◈ 알기쉬운 선(禪) 이야기 100가지 제1장 공(空) - 不立文字 불립문자(不立文字)― 문자를 앞세우지 않는다는 뜻이다. 요컨대 사제(師弟) 간의 생명의 접촉이 선(禪)의 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것만으로 충분히 표현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뜻합니다. 그런데 후세에 와서 선종(禪宗)에 관한 .. 불교·불경(佛敎·佛經) 2016.01.21
[스크랩] 연꽃의 10가지 의미 ★연꽃의 10가지 의미 연꽃은 10가지 의미를 갖고 있답니다. 이 열 가지 의미를 닮게 사는 사람을 연꽃처럼아름답게 사는 사람이라고 한다는군요. 1.이제염오(離諸染汚) 연꽃은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진흙에 물들지 않는다. 주변의 부조리와 환경에 물들지 않고 고고하게 자라서 아름답게 .. 불교·불경(佛敎·佛經) 2015.07.27
蓮花十訓 蓮花十訓 1. 이제염오(離諸染汚) 연꽃은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진흙에 물들지 않는다. 2. 불여악구(不與惡俱) 연꽃잎 위에는 한 방울의 오물도 머무르지 않는다. 3. 계향충만(戒香充滿) 연꽃이 피면 물속의 시궁창 냄새는 사라지고 향기가 연못에 가득하다. 4. 본체청정(本體淸淨) 연꽃은 어.. 불교·불경(佛敎·佛經) 201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