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숙 (한.양방 의료센터 salm 마인드힐링 연구소장)
홧 병
그렇다면 과연 행복한 삶을 위한 바른 "한생각" 과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어떻게 얻을 수 있는 것인가? 병원 상담 환자 중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고 있는 홧병의 예를 들어보자.
홧병이란 ?
홧병은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 민간에서 사용되어오던 질병 개념 중의 하나로 울화병(鬱火病)으로 인식되어 오던 질환이다. 특히 억울한 감정, 속상함 등을 풀지 못하고 장기간 누적시켜 발생하는데, 우리와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홧병이라는 용어는 찾아 볼 수 없다. 특이하게 우리나라 여성에게 많이 발병되며, 참는 것을 미덕으로 알고 생활하던 한국의 어머니 세대에 많이 발생하는 병이다. DSM-Ⅳ에서는 홧병을 문화관련증후군의 하나로 언급하고, 한국 민속증후군으로서 ‘분노 증후군(anger syndrome)’로 번역하고 있다.
화가 나는 이유
보통 화가 나는 이유는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에 어긋나거나, 무시당했다는 생각이 들 때 순간적으로 일어난다. 또는 어떤 대상과 비교하여 거기서 오는 상실감 내지는 자신이 원하는데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등 그 원인은 아주 다양하다. 그러나 그 근본적인 감정의 원천은 "내가 이렇게 했으니 상대도 이렇게 하겠지"... 하고 기대나 집착하는 마음, 나의 관점에서만 생각하는 어리석은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 증상들은 주로, 피로, 불안, 임박한 죽음에 대한 두려움, 우울함, 소화불량, 식욕부진, 호흡곤란, 빈맥, 전신동통, 상복부의 덩어리감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울화가 치밀어서 못 살겠다" 하면서 주먹으로 가슴을 치거나, 한숨을 쉬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되는데, ‘울화’란 감당할 수 없는 엄청난 정신적 충격이나 한 맺힌 설움, 억울한 사연, 응어리진 일 등 억울한 감정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고 억지로 참는 가운데 생기는 화를 말하는 것이다.
화는 무조건 참아야 한다 ?
"마음다스리기"에 대해서 가장 착각하는 것 중에 하나가 화는 무조건 참아야 한다는 오해다. 화란 불덩어리는 무작정 참는다고 해서 제거되지 않는다. 화란 무턱대고 참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산하고 그 에너지를 표현해야 병이 되지 않는다.
화의 적절한 표현 "I message"
대부분 관계에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불화와 싸움으로 이어지면 상대방을 질책하는 대화가 오가기 마련이다. "너 때문에 이렇게 됐잖아", "왜 그렇게 밖에 못한거야?", "어떻게 니가 나한테 이럴 수 있어?" 이렇게 오고가는 대화는 화가 제대로 발산되지도 않고 상대와 감정의 골만 더욱 깊어져 화가 제거되기는커녕 오히려 더 쌓이고 서로 분노하고 원망하게 된다. 이럴 때는 조금만 표현을 바꾸어 상대방을 비난하는 것은 자제하고 나의 감정에 대하여 솔직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해본다. 예를 들면 "당신이 조금만 더 신경써서 행동했다면 내가 좋았을 것 같다", "니가 아무 연락도 없이 약속을 펑크 내니 내가 많이 속상하구나", "나는 이렇게 하는 것 보다는 어떻게 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아" 이런식이다. 사실 아주 조그마한 기술이지만 그 효과와 돌아오는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난다. 그리고 화를 내는 본인이나 상대나 적절한 자신의 감정 표현과 입장 표명을 했기에 화는 쌓이지 않고, 오히려 서로 이해하는 관점의 폭이 늘어나게 되고 관계 개선이 긍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이 작은 기술을 알려 드리면 처음에는 "이게 과연 그렇게 효과가 있을까" 하며 의아해들 하시거나 혹은 쑥스러워들 하신다. 그러나 속는셈 치고 오늘 당장 집에 가서 실천해 보시라하고 다음에 결과들을 들어보면 다들 본인들도 너무나 신기하다며 기뻐한다. 또한 나의 표현이 달라지니 나의 남편이 내 말을 들어주고, 따뜻한 위로가 나오고, 시누이와 소통이 되고, 시어머니를 이해하게 되고, 상사의 표현이 달라지게 되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고 한다. 자 그럼 이렇게 화를 적절하게 표현했다면, 다음으로는 화를 내는 횟수가 줄어 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