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본 김종필…'30대' 공화당 의장부터 92세로 별세까지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23일 92세를 일기로 영욕의 삶을 마감한 김종필(JP) 전 국무총리는 '정치 9단'이라고 불리며 국내 정치사에 숱한 기록을 세웠다.
9선 의원인 JP는 30대의 나이에 중앙정보부장과 국회의원, 당 대표를 지냈고 국무총리를 40대와 70대에 두 번 역임했다.

이로써 김대중·김영삼·김종필 트로이카가 이끌어왔던 '3김(金) 시대'가 종언을 고했다.
김종필 전 총리가 지난 4월 18일 신당동 자택에서 자유한국당 이인제 충남지사 후보를 만날 때 모습. 2018.6.23 [연합뉴스 자료 사진]
1926년생인 JP는 35세이던 1961년 처삼촌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한 뒤 초대 중앙정보부장 자리에 올랐고, 2년 뒤인 1963년 37세의 나이로 국회의원에 당선돼 민주공화당 의장 자리를 꿰차며 명실상부한 2인자의 길을 걸었다.
JP는 숫자 '9'와 인연이 남다르다. 30대에 정계에 뛰어들어 70대에 정계 은퇴를 할 때까지 JP는 '정치 9단'으로 불렸다.
92세로 비교적 장수한 JP는 9선 국회의원이라는 기록도 갖고 있다.
JP는 제6대 국회의원선거였던 1963년 첫 당선 이후 7, 8, 9, 10, 13, 14, 15, 16대 국회의원 금배지를 달았다.
JP는 국무총리를 2번 역임한다. 45세이던 1971년 국무총리에 취임해 4년6개월 동안 자리를 지킨 뒤 퇴임했다.
1997년 대선 당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대선후보 단일화에 합의한 이른바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으로 1998년 김대중 정부에서 72세의 나이로 국무총리 자리에 두번째로 오른다. 서리 기간을 포함해 약 1년 10개월 동안 재임했다.
JP는 인생에서 정계은퇴를 2번 했다.
1968년 5월 JP를 박 전 대통령 후임으로 추대하려 시도했지만 실패로 끝난 '국민복지회' 사건으로 은퇴를 선언하고 민주공화당 의장직과 국회의원직을 사퇴했다가 2년 7개월만인 1970년 12월 복귀한다.
1980년에는 신군부 등장과 함께 영어의 신세가 됐고 미국으로 건너가 유랑생활을 한 후 7년의 야인 생활을 한 뒤 1987년 9월 정계에 돌아온다.
두번째이자 마지막 은퇴는 2004년 4월로, 당시 자민련이 총선에서 4석 확보에 그치면서 JP는 대패 책임을 지고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일선에서 물러났다.
ses@yna.co.kr
'生과 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미홍, 쉽지 않았던 삶 마침표 찍고 떠나... '항상 고민했던 지난 날' (0) | 2018.07.25 |
---|---|
"진보정치 상징"…밤늦게까지 이어진 노회찬 추모행렬(종합2보) (0) | 2018.07.23 |
“중생 없으면 부처도 필요없다” 적멸에 든 설악의 주인 (0) | 2018.05.31 |
'바람의 옷' '색의 마술' 창조한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별세 (0) | 2018.05.24 |
요리계 代母’ 하숙정 씨 별세 (0)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