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雪居士 八竹詩
(부설거사 팔죽시)
此竹彼竹化去竹
차죽피죽화거죽
이런대로 저런대로 되어가는대로
風打之竹浪打竹
풍타지죽랑타죽
바람 부는대로 물결 치는대로
粥粥飯飯生此竹
죽죽반반생차죽
죽이면 죽 밥이면 밥 이런대로 살고
是是非非看彼竹
시시비비간피죽
옳으면 옳고 그르면 그르고 그런대로 보고
賓客接待家勢竹
빈객접대가세죽
손님 접대는 집안 형편대로
市井賣買歲月竹
시정매매세월죽
시정 물건 사고 파는 것은 세월대로
萬事不如吾心竹
만사불여오심죽
세상만사 내 마음대로 되지 않아도
然然然世過然竹
연연연세과연죽
그렇고 그런 세상 그런대로 보낸다
여기서 ‘죽’(竹)자는 ‘~~대로’라는 뜻으로 해석한다.
부설거사(浮雪居士)
신라 선덕여왕 (28대) 시절의 고승.
본명 : 진광세 (陳光世)
법명 : 부설 (浮雪)
출생지 :신라(新羅) 수도(首都) 경주 성내(慶州 鐵內)
부설거사의 팔죽시를 네자로 줄이면?
허허실실(虛虛實實)이다.
허허실실(虛虛實實)이란 "되면 좋고 안되어도 그만인 식으로"의 뜻이다.
어찌 생각하면 허허(虛虛)롭게 생각 될 수가 있다.
허나 절대로 세상을 포기 하고 살라 하는 것이 아니다.
억지로 세상을 살려 하지 말고 진리와 순리에 마추어 살라는 의미이다.
비 온다고 걱정 한 들 비가 그치지는 않는다.
눈 온다 걱정 한 들 눈이 그칠리 없다.
그러면 비 오면 비 오는대로 눈 내리면 눈 내리는 대로 순응하고 살라 하는 것이다.
허세 부리고 살지 말라 하는 것이다.
잘 나갈 때 고급 승용차를 탔으나 명퇘하고 수입 없으면 좀 저가 자동차 탔다고 슬퍼 하거나 부끄러워 하지 말라 하는 것이다.
쥐 구멍에 볕 들날 있다고 낙담하며 살지 말라 하는 것이다.
한 숨 쉬지 말고 자동차 안에 연탄불 피우지 말라 하는 것이다.
사람 한 평생 짧디 짧지만 그 안에도 우여곡절(迂餘-曲折 )이 많다.
그때 그때 마다 평상심을 잃지 말라 하는 것이다.
꽃 핀다 즐거워 말고 낙엽진다 서러워 말라 하는 것이다.
분수대로 살다 보면 즐겁고 행복하다는 것이다.
목숨을 스스로 끊을땐 왜 그만한 이유와 아픔이 없었겠는가!
하지만 인생은 허허실실(虛虛實實)이다.
남 위해 사는 인생이 아니다.
그러니 남 눈치보며 사는 인생이 아니다.
우주의 삼라만상(森羅-萬象) 모두가 내가 있어 존재 하는 것이다.
당연히 우주의 중심은 나다.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그게 나이다.
'한시 산책(漢詩散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에야 / 진계유 (0) | 2009.12.10 |
---|---|
제오강정(題烏江亭) (0) | 2009.11.18 |
산행 / 두목 (0) | 2009.11.16 |
백거이/대주 (0) | 2009.10.30 |
二十一都懷古詩 柳泠齋惠風得恭 (0) | 2009.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