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불경(佛敎·佛經)

당간지주(幢竿支柱)란 무엇일까요

含閒 2012. 5. 25. 16:29

당간지주(幢竿支柱)란 무엇일까요


부석사에 들어서면 일주문 지나는 길에 오랜 세월을 정정하게 서있는 당간지주(幢竿支柱)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답사 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당간지주(幢竿支柱)란 무엇일까요? 당간(幢竿)은 삼국시대 불교가 전파되면서 사찰 앞에

돌이나 쇠로 만들어 높이 세운 기둥으로 찰간(刹竿)이라고도 합니다.

찰간에 깃발을 달아 종파, 문파를 알렸는데, 행사와 불사 때 행사를 알리고 그 주변지역에

사찰이라는 신성한 영역을 알리는 동시에 사원에 모든 액을 물리치려는 의미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당(幢)이란 사찰의 문 앞에 긴 장대를 세우고 그 끝에 용두의 모양을 만든 다음 깃발을

달아서 부처님과 보살의 위신과 공덕을 과시하는 장엄구로서 모든 번뇌를 파괴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번(幢幡)은 항상 달아두지 않고 기도나 법회가

있을 때 불전이나 불당 앞에 세우기도 하였는데 이는 중생을 지휘하고 마군(魔軍)을

굴복시키기 위함이었습니다.

청동용두보당 국보136호

당간지주는 당간을 세우기 위한 버팀대이고, 그 당간에는 당(幢), 번(幡)이란 깃발이 걸려 있기

때문에 당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당은 불교의 발생지였던

인도에서 시작했고, 그 원형은 간다라 시대를 잇는 마투라 시대의 암벽조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중국 한대(漢代)에 군사용 깃발인 번(幡)과 결합하면서 급속히 유행한 당(幢)은

송대(宋代)까지 이어집니다. 불교가 전해진 북위(北魏)시대에 <제비꼬리형 동幢(幡)>이

완성되어 한반도의 삼국시대로 전승됩니다. 중국 돈황석굴, 일본 법륭사, 동대사 정창원에

당대의 당과 번이 다수 보관되어 있음이 이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당만 남아있어 고구려 고분벽화 그림으로 추정할 뿐이며,

일본 오사카 예복사(叡福寺)에 <新羅國獻上之幡>이라고 묵서명된 번이 한 점 남아있습니다.

가까이서 확인할 수 있는 그림으로는 영주 순흥 읍내리 벽화고분의 그림을 보면,

고구려 적석총의 고분벽화에 그려진 번과 비슷한 유형의 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늘날 일본여행을 하다보면, 형형색색의 깃발형태에서 당이 전승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인도에서 시작된 당은 중국을 지나 한반도를 거쳐 오늘날 일본에

전해진 게 아닌가 여겨집니다. 그 형태는 북위시대에 완성된 제비꼬리형에서 물고기 모형으로

변형된 듯합니다.

-이하 자세한 내용은 삼도헌 글방 참고요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