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보내준 사진과 글입니다.
모자라는 2%를 보는 것도 좋지만 98%를 볼 줄 알아야 하는 게 아닐까요?
1. 긍정의 생각은 기적을 낳고..
1975년 여름 어느 날, 박정희 대통령이
현대건설의 정주영 회장을 청와대로 급히 불러 말했다.
"달러를 벌어들일 좋은 기회가 왔는데 일을 못하겠다는 작자들이
있습니다. 지금 당장 중동에 다녀 오십시오.
만약 정 사장도 안 된다고 하면 나도 포기(抛棄)하지요.”
정 회장이 물었다. “무슨 얘기 입니까?”
"1973년도 석유파동 후 중동국가들은 달러가 넘쳐 주체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그래서 그 돈으로 여러 가지 사회 인프라를
건설하고 싶은데, 너무 더운 나라이다 보니 선뜻 일하러 가려는
나라가 없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일할 의사가 있는지를 타진해 왔습니다.
관리들을 보냈더니, 2주 만에 돌아와서 하는 얘기가
너무 더워서 낮에는 일을 할수 없고, 특히 건설공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이 없어 공사를 할 수 없는 나라 라는
겁니다.” 그래요, 오늘 당장 떠나겠습니다.”
정 주영 회장은 5일 만에 다시 청와대에 들어가
박 정희 대통령을 만났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더니.. 하늘이 우리나라를 돕는것 같습니다.”
박 대통령이 대꾸했다. “무슨 얘기요?”
“중동은 이 세상에서 건설공사 하기에 제일 좋은 지역입니다.”
“왜요?”
“1년 12달 비가 오지 않으니 1년 내내 공사를 할수 있고요.”
“또요 ?”
“건설에 필요한 모래, 자갈이 현장에 있으니 자재 조달이 쉽고요”
“물은?”
“그거야 어디서든 실어오면 되고요.”
“50도나 되는 더위는?”
“뜨거운 낮에는 천막을 치고 자고,
밤에 시원해지면 그 때 일하면 됩니다.“
박 대통령은 부저를 눌러 비서실장을 불렀다.
“임자! 현대건설이 중동에 나가는 데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도와줘!”
정 회장 말대로
한국 사람들은 낮에는 자고, 밤에는 횃불을 들고 일을 했다.
세계가 놀랐다. 달러가 부족했던 그 시절, 30만 명의 일꾼들이 중동
으로 몰려나갔고 보잉 747 특별기편으로 달러를 싣고 들어왔다.
사막의 횃불은 긍정(肯定)의 횃불이었다.
하면 된다는 긍정은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한강의 기적은 결코 하루아침에
만들어 진것이 않이다.
2. 어떻게 세운 나라 인데..
4통 8방으로 뻗어가는 국가의 동맥!
국력의 상징인 인천대교 (21.38㎞로 세계 7위)
꿈이 있는한 기적은 계속 된다...
다시 들여다 본
지난 역사와 함께!
(박정희 전대통령 내외) 10.26 일은 박정희 전(前)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지 정확히 30년이 된다. 이제 거리를 두고서 그의 공과(功過)를 두루 포괄 하는 역사적 평가가 가능한 때가 됐다.
修身齊家治國平天下
가정을 다스릴수 있고, 나라를 천하를 평화롭게 다스릴수 있다.
3. 5.16혁명에서-10.26 서거까지
▲5.16혁명 1961-5-16
1 9 7 9년
<생애 마지막 공식 일정>
|
'사진(照片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想起하자 6.25 戰爭 (2) (0) | 2010.06.25 |
---|---|
想起하자 6.25 戰爭 (1) (0) | 2010.06.25 |
화분과 햇빛(자취일기 -키비) (0) | 2010.06.18 |
법주사 풍경(2010.05.29) (0) | 2010.05.31 |
모란 (0) | 201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