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가면서(在生活裏)

이름 없는 꽃

含閒 2009. 9. 1. 10:23

서예세상에서 모셔왔습니다.

 

9월에 읽는 칼럼

이름 없는 꽃

 잠시 교외로 나가면 꽃은 피어 있으되 그 이름을 아는 것이 많지 않다.

학문은 사물의 이름을 아는 것에서부터 비롯한다 하였으니,

꽃의 이름을 알지 못하여 부끄럽다.

그러나 실학자 신경준(申景濬)은 이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브랜드에 얽매여 옷과 음식을 가리는 오늘날의 세태를 미리 안듯

이렇게 이름에 대하여 글을 지었다.

  순원(淳園)의 꽃 중에 이름이 없는 것이 많다.

대개 사물은 스스로 이름을 붙일 수 없고, 사람이 그 이름을 붙인다.

꽃이 이미 이름이 없다면 내가 이름을 붙이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또 어찌 꼭 이름을 붙여야만 하겠는가?

  사람이 사물을 대함에 그 이름만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좋아하는 것은 이름 너머에 있다. 사람이 음식을 좋아하지만

어찌 음식 이름 때문에 좋아하겠는가?

사람이 옷을 좋아하지만 어찌 옷의 이름 때문에 좋아하겠는가?

여기에 맛난 회와 구이가 있으니 그저 먹어보기만 하면 된다.

먹어 배가 부르면 그뿐 무슨 생선의 살인지 모른다 하여 문제가 있겠는가?

여기 가벼운 가죽옷이 있으니 입어보기만 하면 된다.

입어보고 따뜻하면 그뿐 무슨 짐승의 가죽인지 모른다 하여 문제가 있겠는가?

내게 꽃이 있는데 좋아할 만한 것을 구하였다면

꽃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 하여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

  정말 좋아할 만한 것이 없다면 굳이 이름을 붙일 이유가 없고,

좋아할 만한 것이 있어 정말 그것을 구하였다면

또 꼭 이름을 붙일 필요는 없다.

이름은 가리고자 하는 데서 나오는 것이다.

가리고자 한다면 이름이 없을 수 없다.

형체를 가지고 본다면 긴 것, 짧은 것, 큰 것, 작은 것이 이름이 아닌 것은 아니다.

색깔을 가지고 본다면 푸른 것, 누른 것, 붉은 것, 흰 것이라는

말도 이름이 아닌 것은 아니다.

땅을 가지고서 본다면 동쪽, 서쪽, 남쪽, 북쪽이라는

말도 이름이 아닌 것은 아니다.

가까이 있으면 ‘여기’라 하는데 이 역시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멀리 있으면 ‘저기’라고 하는데 그 또한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이름이 없어서 ‘무명(無名)’이라 한다면 ‘무명’ 역시 이름인 것이다.

어찌 다시 이름을 지어다 붙여서 아름답게 치장하려고 하겠는가?

  예전 초나라에 어부가 있었는데 초나라 사람이 그를 사랑하여 사당을 짓고

대부 굴원(屈原)과 함께 배향하였다.

어부의 이름은 과연 무엇이었던가?

대부 굴원은 『초사(楚辭)』를 지어 스스로 제 이름을 찬양하여

정칙(正則)이니 영균(靈均)이니 하였으니* ,

이로서 대부 굴원의 이름이 정말 아름답게 되었다.

그러나 어부는 이름이 없고 단지 고기잡는 사람이라 어부라고만 하였으니

이는 천한 명칭이다.

그런데도 대부 굴원의 이름과 나란하게 백대의 먼 후세까지 전해지게 되었으니,

어찌 그 이름 때문이겠는가?

이름은 정말 아름답게 붙이는 것이 좋겠지만 천하게 붙여도 무방하다.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아름다워도 되고 천해도 된다면 꼭 아름다움을 생각할 필요가 있겠는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면 없는 것이 정말 좋을 것이다.

  어떤 이가 말하였다.

“꽃은 애초에 이름이 없었던 적이 없는데 당신이 유독 모른다고 하여

이름이 없다고 하면 되겠는가?” 내가 말하였다.

“없어서 없는 것도 없는 것이요, 몰라서 없는 것 역시 없는 것이다.

어부가 또한 평소 이름이 없었던 것은 아니요,

어부가 초나라 사람이니 초나라 사람이라면

그 이름을 당연히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초나라 사람들이 어부에 대해 그 좋아함이 이름에 있지 않았기에

그 좋아할 만한 것만 전하고 그 이름은 전하지 않은 것이다.

이름을 정말 알고 있는데도 오히려 마음에 두지 않는데,

하물며 모르는 것에 꼭 이름을 붙이려고 할 필요가 있겠는가?”

* 굴원이 지은 『초사』〈이소(離騷)〉에 “선친께서 나의 출생한 때를 관찰하여

헤아리시어 비로소 내게 아름다운 이름을 내리셨으니,

나의 이름을 정칙으로 하시고 나의 자(字)를 영균으로 하시었네.” 라고 하였다.

 

- 신경준, 〈순원의 꽃에 대한 단상(淳園花卉雜說)〉《여암유고(旅菴遺稿)》

 

  글쓴이 / 이종묵 *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9월입니다~~~
날마다 넉넉하고 행복한 시간 이어지길 기원합니다.
 
서예세상 운영자 일동 x-text/html; charset=iso-8859-1" loop="-1" autostart="true" volume="0">

'살아 가면서(在生活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가 아부를 잘한다   (0) 2009.09.06
어미새의 충고  (0) 2009.09.02
세상에서 가장 귀한 만원짜리 한장  (0) 2009.08.31
홀트 부부의 응답   (0) 2009.08.28
우리에겐 내일이 있다!  (0) 200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