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1. 효(孝)
1. 事親以孝(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함. 세속오계의 하나
2. 父子有親(부자유친) : 아버지와 아들의 道는 친애에 있음. 五倫의 하나
3. 父爲子綱(부위자강) :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 지킬 떳떳한 도리. 삼강의 하나.
4. 昏定晨省(혼정신성) : 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5. 反哺之孝(반포지효) :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
6. 反哺報恩(반포보은) : 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
7. 風樹之嘆(풍수지탄) : 효도하고자 할 때에 이미 부모는 돌아가셔서, 효행을 다하지 못하는 슬픔
8. 出必告反必面(출필고반필면) : 밖에 나갈 때 가는 곳을 반드시 아뢰고, 되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을 보여 드린다. 出告反面
9. 昊天罔極(호천망극) : 끝없는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혜가 크다는 것을 말함
10. 望雲之情(망운지정) : 객지에서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
11. 白雲孤飛(백운고비) : 멀리 떠나는 자식이 어버이를 그리워 함
12. 冬溫夏凊(동온하청) : 부모에 효도함. 겨울은 따뜻하게 여름은 시원하게 해드림.
13. 伯兪之孝(백유지효) : 韓伯兪는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로부터 종아리를 맞아도 아프지 않다하여 어머니의 노쇠함을 탄식함.
2. 우정(友情)
1. 管鮑之交(관포지교) : 썩 친밀한 교제.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사귐
2. 水魚之交(수어지교) : 물과 고기의 관계처럼 뗄 수 없는 사이
3. 竹馬故友(죽마고우) : 어릴 때부터의 친한 벗
4. 莫逆之友(막역지우) : 아주 허물 없는 벗
5. 金石之交(금석지교) : 쇠와 돌처럼 굳은 사귐
6. 肝膽相照(간담상조) : 간과 쓸개가 가까이 서로 보여 주듯이 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귐
7. 膠漆之交(교칠지교) : 매우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귐
8. 刎頸之交(문경지교) : 죽고 살기를 같이 할 만한 친한 사이나 벗
9. 金蘭之交(금란지교) : 쇠처럼 날카롭고 난초처럼 향기나는 친구 사이.
10. 芝蘭之交(지란지교) : 영지와 난초의 향기로운 향기 같은 벗 사이의 교제
11. 斷金之交(단금지교) : 매우 정의가 두터운 사이의 교제
12. 交友以信(교우이신) : 친구를 믿음으로써 사귐. 世俗五戒의 하나
13. 朋友有信(붕우유신) : 친구사이의 도리는 신의에 있음.
14. 布衣之交(포의지교) : 곤경한 상황에서 사귄 친구
15. 知音知己(지음지기) : 소리를 듣고 나를 인정해 주는 친구
3. 학문(學問)
1.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 것을 익혀서 그것으로 미루어 새 것을 깨달음. *法古創新(법고창신)
2. 稽古(계고) : 옛일을 생각한다는 뜻. 학문을 닦는 것을 일컬음.
3. 螢雪之功(형설지공) : 고생을 하면서도 꾸준히 학문을 닦은 보람.
4. 日就月將(일취월장) : 학문이 날로 달로 나아감. *刮目相對괄목상대
5. 盈科後進(영과후진) : 구덩이에 물이 찬 후에 밖으로 흐르듯 학문도 단계에 맞게 진행해야 한다는 뜻.
6. 敎學相長(교학상장) :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이 서로의 학업을 증진시킨다는 뜻.
7. 讀書三到(독서삼도) : 독서하는 데는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깨우쳐야 함. ☞ 手不釋卷, 讀書三昧, 讀書尙友, 三餘(수불석권, 독서삼매, 독서상우, 삼여)
8. 亡羊之歎(망양지탄) : 갈림길이 많아 양을 잃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도 여러 갈래여서 진리를 찾기 어렵다는 말. ☞ 多岐亡羊다기망양
9. 不恥下問(불치하문) : 자기보다 아래 사람에게 배우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10. 靑出於藍(청출어람) :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낫다는 말.
11. 後生可畏(후생가외) : 후배들이 선배들보다 훌륭하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두려운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말.
12. 孟母三遷(맹모삼천)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의 준말.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 이사했다는 고사에서 유래. 처음에 공동묘지 가까이 살다가, 맹자가 장사지내는 흉내를 내서, 시전 가까이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시켰다 함.
13. 曲學阿世(곡학아세) : 올바른 학문을 굽혀, 속된 세상에 아부함
14. 換骨奪胎(환골탈태) : 뼈를 바꾸고 태를 빼앗았다는 뜻으로, 옛사람이나 타인의 글에서 그 뜻을 취하거나 모방하여 자기의 작품인 것처럼 꾸미는 일
4. 부부(夫婦)
1. 琴瑟之樂(금슬지락) : 거문고와 비파. 금슬 좋은 부부간의 애정. 거문고와 비파가 서로 어울려 아름다운 합주를 만들어 내듯이 아내와 남편이 서로 양보하며 서로를 존중하면, 가정이 화목하고 만사가 잘 이루어진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2. 夫唱婦隨(부창부수) : 부부의 화합을 뜻하는 말로 예로부터 남편이 부르면 부인이 따른다는 말.
3. 賢婦令夫貴和六親(현부령부귀화육친) : 현명한 부인은 남편을 귀하게 하고, 또한 일가 친척을 화목하게 함.
4. 百年佳約(백년가약) :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함께 하겠다는 아름다운 언약(言約)이란 뜻.
5. 부모님에게 효도를 함
1. 昏定晨省(혼정신성) :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정하고 아침에는 부모님께서 안녕히 주무셨는지를 살핌
2. 斑衣之戱(반의지희) : 부모를 위로하려고 색동 저고리를 입고 기어가 보임
3. 反哺報恩(반포보은) : 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
4. 風樹之嘆(풍수지탄) :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한 말.
(참고) 이는 "樹欲靜而風不止하고 子欲養而親不待니라"(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은 멎지 아니하고,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니는 그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6. 몹시 가난함
1. 三旬九食(삼순구식) : 서른 날에 아홉 끼니밖에 못 먹음.
2. 桂玉之嘆(계옥지탄) : 식량 구하기가 계수나무 구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하기가 옥을 구하기만큼 어려움.
3. 男負女戴(남부여대)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이고 감. 곧 가난한 사람들이 떠돌아다니며 사는 것을 말함.
7. 학문과 관련된 성어
1. 日就月將(일취월장) : 날로 달로 나아감. 학문이 계속 발전해 감.
2. 刮目相對(괄목상대) : 옛날 중국의 오(吳)나라의 노숙과 여몽 사이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뜻으로, 얼마동안 못 보는 사이에 상대가 깜짝 놀랄 정도의 발전을 보임을 뜻함.
8. 기쁨, 좋음
1.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2. 弄璋之慶(농장지경) 또는 弄璋之喜(농장지희) : ‘장(璋)'은 사내 아이의 장난감인 ’구슬'이라는 뜻으로, 아들을 낳은 기쁨. 또는 아들을 낳은 일을 이르는 말.
3. 弄瓦之慶(농와지경) 또는 弄瓦之喜(농와지희)
: ‘와(瓦)'는 계집 아이의 장난감인 ’실패'라는 뜻으로, 딸을 낳은 기쁨을 이르는 말.
4.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 위에 꽃을 놓는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겹침을 비유.
5.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을수록 더욱 좋음.
6.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9. 불행
1.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불행한 일이 거듭하여 겹침을 비유.
2. 七顚八倒(칠전팔도) :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말로, 실패를 거듭하거나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
3.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10. 행복
1. 前途有望(전도유망) : 앞으로 잘 될 희망이 있음. 장래가 유망함.
2. 風雲兒(풍운아) : 좋은 기회를 타고 활약하여 세상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
3. 遠禍召福(원화소복) : 재앙을 물리쳐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좋은 글감(好句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省心篇) (0) | 2009.08.01 |
---|---|
강태공 (0) | 2009.06.12 |
맹자의 대장부론 (0) | 2009.03.13 |
사자성어 (0) | 2009.03.05 |
勸學文 朱子訓 (0) | 200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