啐啄同機 (啐啄同時)
啐【쵀】맛보다; 마시다; 부르다; 부르짖다; 꾸짖다; 침을 뱉다.
【줄】지껄이다; 쭉쭉 빨다.
8획 (총11획) to taste; to sip サイ·ソツ·おどろく cu
啄【탁】(부리로) 쪼다.
【주】부리
8획 (총11획) pick タク·ついばむ zhu 啄木(탁목)
① 딱따구리. ② 새가 나무 따위 를 쪼는 소리.
본칙(本則)
[어느 날] 한 중이 경청 화상에게 [찾아와] “저는 [이미 대오개발(大悟
開發)의 준비가 되어] 껍질을 깨뜨리고 나가려는 병아리와 같으니, 부디
화상께서 껍질을 쪼아 깨뜨려 주십시오.[이끌어 주시면 곧 절대의 경지
에 뛰어나갈 수 있습니다.]”하고 말했다.
경청 화상이 “과연 그래 가지고도 살 수 있을까, 어떨까?” 하자,
그 중은 “만약 살지 못하면, [화상에게 줄탁의 솜씨도 살활(殺活)의 칼
도 없는 셈이 되니]화상이 세상의 웃음거리가 되죠.” 했다. 경청은 “이
건달 놈!” 하고 꾸짖었다.
擧. 僧問鏡淸, 學人啐 , 請師 啄.
淸云, 還得活也無.
僧云, 若不活遭人怪笑.
淸云, 也是草裏漢.
거. 승문경청, 학인줄, 청사탁.
청운, 환득활야무.
승운, 약불활조인괴소.
청운, 야시초리한.
* 경청도부(鏡淸道 868-936). 설봉의존의 제자로 운문문언, 장경혜릉 보복종전과는 법형제가 된다. 절강성 소흥부의 경청사에 머물러 있어서 경청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경청사에 머물렀을 때 많은 학자들과 곧잘 논쟁을 벌여 상대를 압도했던 것 같다. 전등록에 '도부선사의 고매한 말씀은 사람들이 그 궁극적인 이치를 헤아리지 못할 정도였다.
'부사지고론 인막규기극야 ( (付/心)師之高論 人莫竅其極也)'라는 말이 나온다.
벽암록 / 안동림 역주 / 현암사
'좋은 글감(好句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국궁진력(鞠躬盡力) (0) | 2007.03.28 |
---|---|
[스크랩] 自警文<율곡> (0) | 2007.02.16 |
[스크랩] 漁父辭 - 屈原 - (어부사- 굴원) (0) | 2006.12.04 |
[스크랩] 桃李不言 下自成蹊 (도리불언 하자성혜)(이야기 한자여행) (0) | 2006.11.29 |
[스크랩]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0) | 200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