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에 대한 질문입니다.
조카와 삼촌이 둘 다 남자인 경우 조카가 결혼하면
조카의 아내는 삼촌한테 조카며느리가 되니까 삼촌이 질부라고 부르잖아요?
그럼 조카가 여자인 경우는 삼촌이 조카사위를 뭐라고 부르나요?
- 채택된 답변 답변
가족이나 친인척간에 서로 상대를 부르는 호칭이 정해져 있습니다.
아버지의 형제가 여러 명일 때 아버지의 형님은 대부분 '큰아버지'라고 부르며
동생은 '작은아버지'라고 부릅니다만
한자 호칭은 아버지 형제중 맏형님만 '백부(伯父)'라고 부르고
나머지 형제는 아버지의 형님이든 동생이든 상관없이 모두 '叔父'라고 합니다.
그리고 '백부'나 '숙부'의 경우 본인과의 촌수가 '3촌'이기 때문에
흔히 '삼촌' 또는 '삼춘'이라고 호칭을 하지만 올바른 호칭을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호칭' 즉 직접 부르실 때는 '큰아버지' 또는 '작은아버지'라고 부르는게 올바른 호칭이며
남에게 말할 땐 즉 '지칭'은 '백부' 또는 '숙부'라고 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백부나 숙부의 입장에서 형제의 자녀들을 호칭할 때는
별다른 호칭은 없으며, 그냥 이름을 부르잖아요.
하지만 남에게 말할 때 '지칭'은 남자의 경우는 '조카'라고 하지만
여자의 경우는 '질녀(姪女)'라고 합니다.
왜냐면 한문으로 '姪(조카 질)'은 바로 '조카'를 뜻하는 말이긴 하지만
'자기 형제의 아들' 즉 남자를 뜻하는 말이거던요.
그래서 '자기 형제의 딸을 그냥 '조카'라고 하면 남들이 '아들'로 알 수 있기에
한편으론 '조카 딸'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형제의 딸의 '조카'라고 지칭하는 것은 잘못이며, '조카 딸' 또는 '질녀'라고 해야 됩니다.
형제의 아들 즉 '조카'의 아내는 '질부(姪婦)'라고 하는데,
'조카 질(姪) 아내 부(婦)'이기에 '조카의 아내'란 뜻이 됩니다.
'질부'란 말은 남에게 말할 때 '지칭'도 되지만
숙부나 백부가 상대방을 직접 부를 때인 '호칭'으로도 사용이 됩니다.
예를 들면 백부나 숙부가 '질부'를 부를 때 '질부, 아버님은 계시나?'는 식으로 말을 놓게 됩니다.
그럼 질부쪽에서 백부나 숙부를 직접 부를 땐 '큰 어버님', '작은 아버님'식으로 부르면 됩니다.
형제의 딸인 '질녀'의 남편은 직접 부르는 호칭이 정해져 있지가 않습니다.
왜냐면 장인과 사위의 관계는 부자관계와 동격이지만
백부나 숙부와 질녀의 남편사이는 혈연이나 친척관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물론 남에게 말할 때 '지칭'는 '질서(姪壻)'라고 하는데,
'조카 질(姪) 사위 서(壻)'이기 때문에 우리말로는 '조카 사위'라고도 합니다만
직접 부를 땐 그냥 자신의 형제(상대방의 장인)가 부르듯이
'김서방', '이서방' 식으로 부르며 말도 놓게 됩니다.
그리고 사위 입장에서 처의 숙부나 백부를 부르는 호칭도 정해져 있지가 않습니다.
남에게 말할 땐 '처백부', '처숙부'식으로 말하거나 또는 '처삼촌'으로 지칭을 하지만
본인이 직접 처삼촌을 부르는 호칭은 정해져 있지가 않습니다.
그건 가족이나 친척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척간에
부르는 호칭이 정해져 있지 않는 겁니다.
그럼 직접 불러야 할 때가 있을 텐데 어떻게 해야 하나?
요즘은 처의 아버지인 '장인'을 '아버님'으로 어머니를 '어머님'으로 부르는
사위들이 있습니다만 처의 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으로 부르는 것은 올바른 호칭이 아닙니다.
처의 아버지는 '장인어른', 어머니는 '장모님'이라고 불러야 하며
편지 글을 적을 땐 '빙장어른 전상서', 빙모님 전상서'식으로 적게 됩니다.
처의 백부나 숙부는 직접 부르는 호칭이 없기 때문에
굳이 불러야 된다면 '숙부님', '백부님' 식으로 부르면 됩니다.
사실은 '처숙부님', '처백부님'이란 말에서 '처'를 생략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말에 '처삼촌묘 벌초하듯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무슨 일은 대충대충 하는 시늉만 하는 걸 보고 빗대어 하는 말인데...
처의 삼촌 즉 '처삼촌'은 본인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사람인데,
사위 입장에서 처갓집 일이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돌아가신 처삼촌의
묘를 벌초(묘지 풀을 깎는 일)를 하게 된 바 제대로 신경 쓸 리가 없겠죠.
그래서 대충대충 해 치우기 때문에 무슨 일을 하면서
대충대충 하는 시늉만 내는 것을 '처삼촌묘 벌초하듯 한다'고 하는 겁니다.
바로 이 말에서도 보듯이 그 집안의 사위와 처삼촌과는 아무런 관계가 아닌 남남간입니다.
조카의 아내인 '질부'나 질녀의 남편인 '질서'는 촌수로 따지면 똑같은 입장인데
왜 이렇게 다르게 생각을 했을까?
이는 여자는 시집을 가면 시댁의 식구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며
조카 딸의 시댁식구들과 나와는 남남간이라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시집간 여자들이 잘 모르는 호칭이 또 있는데,
바로 남편의 누나아 여동생 즉 시누이들의 남편에 대한 호칭입니다.
시누이의 남편과 처남의 아내간도 남남간으로 여겨서 호칭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요즘은 두 사람이 자주 만나기도 하지만 과거에는 아예 만날 일이 거의 없었으며
설사 어쩌다가 마주쳐도 서로 상대방을 부를 일이 없었기에
두 사람간에는 호칭을 정하지 않아도 전혀 불편함을 못 느꼈습니다만
요즘은 자주 만나기도 하니까 뭔가 호칭을 정해야 되는데...
남편의 누나의 남편 즉 손윗시누이의 남편은 남편입장에서 볼 때 형님뻘인 바
남편의 형을 부를 때 호칭인 '아주버님'으로 부르는게 적당한 호칭이며
남편의 여동생의 남편 즉 손아래 시누이의 남편을 부를 땐
결혼한 시동생을 부를 때의 호칭인 '서방님'으로 부르는게 적당합니다.
그리고 상대방에서 처남의 아내를 부르는 호칭은
흔히 친구의 아내를 부를 때의 호칭인 '아주머님'으로 하는게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알면 좋은 상식(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계에서 가장 으뜸인 32개 넘버 원 (0) | 2018.05.26 |
---|---|
[스크랩] 우리 말에 양(洋) 자가 들어간 사연 (0) | 2018.02.14 |
[스크랩] 유럽의 속담과 격언 (0) | 2017.07.19 |
[스크랩] 세계의 속담 격언 (0) | 2017.07.17 |
[스크랩] 냉장고에 절대 넣지 말아야 할 음식 (0) | 201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