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푼 안 쓰고 21년 꼬박 모아야 '내집 장만'..어디?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9년 가까이 돈을 모아야 서울에서 내 집 장만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에서도 특히 서초, 강남, 용산구의 연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높아 서초구의 PIR는 20.8배, 강남구는 18.3배, 용산구는 13.1배였다.
21년 가까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고스란히 모으면 서초구에서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8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발표한 ‘2017년도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연 소득 대비 9배 가까이 높았다.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가 중위수 기준 8.8배다.
이는 국토부가 선정한 표본 8천 가구에 서울시 추가 표본 8천 가구를 더해 총 1만6천169가구를 조사·분석한 결과다. PIR 산정에 기준이 되는 응답자의 연평균 소득과 집값은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해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서울에 사는 전체 가구의 71.3%는 임대료나 대출 상환금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은 전·월세를 사는 임차가구(83.3%)가 자가 가구(71.3%)보다 높았다.
세입자 24%(48만 가구)는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과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월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25%를 넘거나 임대료와 관리비를 포함한 비용이 30% 이상을 차지한다면 주거비 부담이 과한 수준으로 본다.
본인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점유 비율은 42.9%로 1년 새 0.9%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의 자가 점유 비율은 전국 평균(57.7%)보다는 낮은 편이다.
서울 내에선 도봉구(60.2%), 노원구(51.1%), 양천구(50.5%)의 자가 점유율이 높았다. 가구주 연령이 39세 이하인 청년 가구의 자가 점유율은 19.1%였다.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 비중은 서울이 47.9%로, 전국 평균(60.4%)보다 낮았다.
서울에서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율은 76.8%였다. 전국 평균(82.8%)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특히 청년 가구는 68.3%가 주택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해 전체 평균보다 주택 보유 필요성을 낮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금융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현옥의 금융산책]요즘 변액·종신보험 판매 급증한 까닭 알고보니… (0) | 2018.05.10 |
---|---|
일본 노후 파산 패턴 (0) | 2018.05.10 |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자산 5억원 중 대출이 3억인 30대 맞벌이부부, 부채를 줄여라 (0) | 2018.05.02 |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월소득 680만원 30대 맞벌이, 은퇴 준비 시작하고 싶은데 (0) | 2018.05.02 |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부동산 많은 50대 중소기업 임원, 이자부담 커 구조조정 하려는데 (0) | 2018.05.02 |